반응형
타입스크린트란?
타입스크립트는 ‘JS+타입’이라고 생각하면 쉽다.
자바스크립트의 확장된 언어지만 자바스크립트와 다르게 브라우저에서 실행하고자한다면 파일을 변환해주어 컴퓨터가 코드를 읽을 수 있게 ‘컴파일’과정을 거쳐야한다.
타입스크립트를 쓰는 이유?
가장 큰 이유로는 ‘에러의 사전방지’를 위함이다.
타입스크립트는 에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.
function sum(a, b) {
return a + b
}
function sum(a: number, b:number){
return a+b
}
첫번째는 자바스크립트, 두번째는 타입스크립트로 작성된 숫자의 합을 구하는 함수코드다.
첫번째는 30이란 결과가 나오겠지만
두번째는 1020이란 결과가 나온다.
이 코드를 vsCode에서 확인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를 확인 할 수 있다.
이를 위해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의도치않은 코드의 동작을 예방할 수 있다.
반응형
'CS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지식]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알아야하는 컴공지식 - 쿠키와 세션 (0) | 2023.06.16 |
---|---|
[CS지식]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알아야하는 컴공지식 - Web (0) | 2023.06.16 |
맥 OS NVM으로 node 버전 관리하기, 이렇게 쉬운 방법이 없음. (0) | 2022.07.26 |
노마드코더 캐럿마켓 챌린지 1기 시작 D-1 / Framework와 Library의 차이(한방으로 이해 가능) (0) | 2022.06.20 |
2021년 2회차 합격률 30%대 비전공자가 정보처리기사 독학으로 필기 합격한 후기 / 공부방법 / 실기접수 (0) | 2022.06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