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JS기반 Framework 또는 Library를 실무나 토이프로젝트에서 사용할 경우 제일 많이 보이는 삼항 연산자.
[사용법]
조건 ? true일 때 : false일 때
예를 들면
If / Else 문으로 작성한 조건문
const arr = [];
let text = '';
if(arr.length === 0){
text = '배열이 비어있습니다.';
} else {
text = '배열이 비어있지않습니다.';
}
console.log(text);
위 코드를 간단하게 한 줄로 표현 할 수 있다.
const arr = [];
let text = arr.length ? '배열이 비어 있지 않습니다.' : '배열이 비어 있습니다.';
console.log(text);
** arr.length === 0 이 아닌 arr.length로 표현한 방법을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확인하세요!
삼항 연산자를 중첩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기 힘든 코드가 될 수 있음.. 이런경우 if/else문이 낫다!
const con1 = false;
const con2 = false;
const val = con1 ? '정답' : con2 ? '두번째정답' : '틀렸어요';
console.log(val);
반응형
'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서버란? (Web-Server) (0) | 2023.09.06 |
---|---|
[DeepDive] 변수 선언, 할당, 초기화, 호이스팅? (0) | 2022.02.18 |
[알고있으면 유용한 자바스크립트 문법] Truthy & Falsy (0) | 2022.01.30 |